결빙 방지 및 항균 특성이 개선된 UV 레이저 제거된 Cu 초습윤 표면
Jun 09 , 2023결빙 방지 및 항균 특성이 개선된 UV 레이저 제거된 Cu 초습윤 표면
효율적인 열 교환 성능을 달성하기 위해 구리(Cu)의 결빙 방지 및 항균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자외선 레이저 제거 기술이 사용되었습니다. 레이저 스캐닝 공간 간격 은 표면 지형 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. SEM 관찰은 스캐닝 간격이 40 μm 미만일 때 나노 융모 유사 제품이 표면에 나타나 마이크로/나노 계층 구조를 형성함을 보여주었습니다. 스캐닝 공간 간격이 40μm 이상일 때 표면은 나노 융모 같은 제품 없이 미크론 수준의 유두/홈 패턴만 나타냅니다. XRD , TEM 및 XPS 결과 의 결합 분석은 나노 융모 제품이 부분적으로 결정화되었음을 나타냅니다. 5~10nm 크기의 산화구리 입자. 레이저 어블레이션(Laser ablation) 에 의한 Cu의 증착 에 의해 나노 산화물이 얻어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. 또한, FAS-17로 변형한 후, 나노 융모 유사 표면의 소수성은 유두/홈 표면의 소수성보다 훨씬 더 높아졌습니다. 가장 높은 물 접촉각은 156.30 ± 0.53°에 도달했고 물 미끄러짐 각도는 1.57 ± 0.99°로 낮았습니다. -10 °C에서의 결빙 방지 테스트에서 이 초소수성 표면의 지연 동결 시간은 9923초에 도달했습니다. 이러한 우수한 결빙방지 특성은 얼음 핵 생성을 위한 임계 활성화 에너지 의 향상과 계면의 감소에 기인할 수 있습니다.초소수성 표면 으로 인한 열전도율 . 마지막으로, 억제 구역 테스트는 레이저 절제가 E. coli 및 S. aureus 에 대한 Cu의 항균 활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입증했습니다 .
구리(Cu) 열교환기는 열전달 계수가 좋고 항균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콘덴서로 자주 사용됩니다. 그러나 Cu의 친수성으로 인해 습한 공기에서 응축수를 쉽게 형성할 수 있으며 추운 지역에서 이러한 교환기를 작동할 경우 서리나 결빙이 발생하기도 합니다. 열 교환기의 물이나 얼음은 박테리아를 번식시키고 들어오는 공기를 오염시키기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합니다[1, 2, 3]. 이를 위해서는 이러한 응축기의 결빙 방지 및 항균 성능 측면을 개선하기 위한 상당한 연구 노력이 필요합니다.
초소수성 재료는 150° 이상의 물 접촉각(WCA)과 10° 미만의 물 미끄럼각(WSA)을 모두 갖는 재료를 의미합니다[4]. 이러한 유형의 재료는 결빙의 열역학적 장벽을 확장하기 위해 물방울과 그 표면 사이에 공기층을 가둘 수 있습니다[5,6,7]. 결과적으로, 초소수성 표면은 얼음 핵 생성을 방지하고 물방울의 결빙을 지연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우수한 결빙 방지/동결 성능을 나타냅니다[8,9,10]. 지금까지 수열 합성[11,12,13], 레이저 제거[14],[15],[16],[17], 전기화학 증착[18],[19], [ 20], 양극 산화[21,22,23] 및 기타 방법은 어느 정도의 결빙 지연을 갖는 초소수성 표면을 제조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[24]. 특히,
초소수성 표면은 대부분의 박테리아의 접착에 저항할 수 있지만[27], 연구에 따르면 박테리아가 너무 작거나 표면 소수성이 감소할 때 매끄러운 표면보다 초소수성 표면이 박테리아를 번식시킬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[28,29]. . 따라서, 항균 물질을 이용한 초소수성 표면의 제조는 초소수성 표면의 항균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[30]. Cu 이온은 세포벽과 상호작용하여 세포의 막 구조를 억제하거나 파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[31,32] 세균 세포에 들어가 단백질이나 효소 활성을 감소시키므로 궁극적으로 단백질을 변성시키고 DNA 분자를 파괴합니다[33], [34]. 중요한 것은 Cu 또는 그 화합물로 준비된 초소수성 표면은 우수한 항균 특성을 나타냅니다. 예를 들어, 베니어 표면에 증착된 Cu[35]와 지르코늄[36]은 초소수성 특성과 시험관 내 세균 부착 활동의 현저한 감소를 나타냅니다.
그러나 Cu 나노입자(NP)는 야외에서 불안정하기 때문에 실제 응용 분야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. 구리 산화물은 가시광에 민감한 p형 반도체 재료[37]로서 햇빛에 노출되면 살균 능력을 가진 자유 라디칼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실제로 Cu보다 우수한 항균 특성을 나타냅니다[38], [39], [40] ], [41]. 예를 들어, Subhadarshini 외. [42] Cu 포일 위에 Cu 2 O 나노꽃잎을 제조하기 위해 전기화학 증착법을 사용하였으며 , 이 표면은 원시 Cu 포일보다 우수한 초소수성 및 더 나은 항균성을 보였다. Mahmoodiet al. [43]은 처리되지 않은 Cu 호일보다 더 나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Cu 호일에 CuO 나노와이어(NW)를 생산하기 위해 열 산화 방법을 사용했습니다.
레이저 어블레이션 기술은 고효율, 저공해 등의 장점을 제공하며 대규모 제조에 적합합니다. 레이저 제거는 Cu 기판에 표면 텍스처를 생성한 다음 표면 수정을 통해 표면을 초소수성 상태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[44,45]. 본 연구에서는 Cu의 항균 및 결빙방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외선(UV) 레이저를 이용하여 거친 표면 미세구조를 구축함과 동시에 표면에 나노 구리 산화물을 증착하여 계층적 마이크로-Cu/나노 산화물을 제조하였다. 표면 구조. 고체 표면 장력을 줄이고 초소수성 표면을 준비하기 위해 화학적 변형이 사용되었습니다. 이 연구는 결빙 방지 및 항균 응용을 위한 금속의 레이저 제거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합니다.
순도 99.9%, 두께 0.05mm의 Cu 포일을 원료로 사용하였다. 크기가 10mm인 정사각형 샘플과 직경이 10mm인 원형 샘플이 결빙 방지 및 항균 테스트에 각각 사용되었습니다. 레이저 어블레이션 전 320#, 600#, 1200#, 1500#, 2000# SiC 샌드페이퍼를 사용하여 샘플을 순차적으로 연마한 후 탈이온수, 에탄올, 아세톤에서 20분 동안 초음파 세척을 통해 연속적으로 세척했습니다.
표면 질감은 레이저 제거에 의해 형성되었습니다. UV 레이저
레이저 어블레이션 공정 중 두 세트의 매개변수를 변경하여 그림 2, 그림 3과 같이 서로 다른 마이크로 나노 계층 구조를 얻었습니다. 그림 2는 서로 다른 스캐닝 간격과 상수 이 세트에는 레이저 어블레이션 가공이 10회 사용되었습니다. 레이저 스캐닝 간격은 Cu 호일의 표면 형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. 그림 2(a1)-(e1)의 전체 모습은 표면이
본 연구에서는 화학적 표면 개질과 결합된 자외선 레이저 제거 기술을 사용하여 구리(Cu) 호일 표면의 습윤성을 조정하여 결빙 방지 및 항균 특성을 성공적으로 향상시켰습니다. 결과는 레이저 스캐닝 간격이 표면 지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. 간격이 ≤ 40 μm일 때 Cu 호일 표면에 나노 융모와 같은 Cu 산화물이 생성되었습니다. XRD, TEM 및 XPS 연구 분석 결과
Jiang-hao Qiao : 개념화, 감독, 프로젝트 관리, 자금 조달, 작성 – 검토 및 편집, 자금 조달. Song-jiang Li : 자원, 조사, 형식 분석, 데이터 큐레이션, 시각화, 쓰기 - 원본 초안. Li-ping Kong : 개념화, 감독, 조사 프로젝트 관리. Yan-cai Liu : 자원, 조사. Yu-zheng Huang : 자원, 조사, 공식 분석. Kun Chen : 자원, 조사. 리유첸 : 자원,
저자는 이 백서에 보고된 작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쟁적인 금전적 이익이나 개인적인 관계가 없음을 선언합니다.
이 작업은 Xuzhou의 기초 연구 프로그램 (보조금 번호 KC21015 ), 중국 국립 자연과학 재단 (보조금 번호 52175204 및 51875563 ) 및 중앙 대학을 위한 기초 연구 기금 (보조금 번호 2014QNA13 ) 의 재정적 지원을 받았습니다 .
실험에 도움을 준 China University of Mining and Technology의 분석 및 테스트 센터에 특별한 감사를 드립니다.